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(표)을 보실 수 있습니다.
프로그램 | 이용대상 | 서비스 내용 | 요일/시간 |
---|---|---|---|
직업상담 | 구직장애인 | 구직장애인의 욕구수렴 및 직업재활 방향의 기초 자료 수집 | 연중 |
직업평가 | 구직장애인 | 직업재활서비스의 적격성 판정, 직업적수준 판별을 위한 기준 마련(기초평가, 심리평가, 작업표본평가 등) | 연중 |
재활계획수립 |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장애인 |
구직장애인의 자립능력을 활성화하며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계획 및 실천 | 연중 |
사례회의 |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장애인 |
서비스 이용 및 변경, 종결, 문제 및 욕구 해결 등 사례관리를 통한 적합한 서비스 제공 | 연중 |
취업 전 교육 | 구직장애인 | 구직자를 대상으로 취업 전 교육을 실시하여 취업률 향상 도모 | 연중 |
취업알선 | 구직장애인 | 취업알선(동행면접)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도움 | 연중 |
지원고용 및 현장훈련 |
구직장애인 | 지역사회 사업체 내 일정기간 현장훈련을 통한 장애인의 취업지원 | 연중 |
현장훈련 | 구직장애인 | 보호된 작업환경과 단순작업위주의 직무과정에서 벗어나 장애인들이 취업중인 업체·기존업체 또는 새로운 업체를 개발하여 업체 현장에서 1주~2주 직무분석을 통한 현장지도 | 연중 |
고용유지를 위한 적응지원 |
근로장애인 | 근로계약체결 이후 근로 장애인의 직무수행상황과 근무상태, 개인의 문제를 점검하고 파악·해결하여 원활한 직장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원 | 연중 |
취업자 지원 | 근로장애인 | 근로장애인의 어려움 파악과 옹호활동을 위해 취업자 간담회를 실시함으로써 안정적인 직장생활 유지 도모 | 연중 |
사업주 지원 | 사업체 고용주 외 | 지속적인 사업체 유지 및 관리를 통한 긍정적인 장애인 고용전망을 유도하고 근로장애인 직장적응 지원 | 연중 |
업체개발 | 사업체 | 구직 장애인에 대한 적합하고 다양한 직종의 사업체를 개발하고, 사업체 내 직무를 분석하여 장애인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직종개발 | 연중 |
전환교육 프로그램 |
완주군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장애학생 |
장애학생이 학교 졸업 후 직업생활, 사회생활, 여가생활 등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업적 교육 및 실습을 통해 학교에서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 | 학기중 |
직업탐색 프로그램 |
장애청년 | 취업을 준비하는 장애대학생의 진로설정을 돕기 위해 자기이해 및 탐색, 이미지트레이닝, 취업준비기술 등 프로그램 제공 | 연5회 (5회기) |
장애인 일자리사업 |
근로장애인 | 취업 취약계층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 및 소득보장 지원을 위한 일자리제공 | 연중 |
프로그램 | 근로장애인 | 카페 운영 <이서면 인재개발원> | 연중 |